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4

저압전동기(기중차단기, ACB) 장한시 단한시 보호 설정 국내 Plant분야 엔지니어링은 제가 듣기로는 미국 벡텔사 자료에서 출발하여, KEPCO E&C에서 국내화하는 기술로 업그레이드를 해서, 이제는 대규모 엔지니어링 회사에서, 소규모 엔지니어링 회사까지 꽤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그쪽 분야에 일하시는 분들 이야기는 너무 해외에 비해서 엔지니어링이 대우를 받지 못한다는 말들을 하더군요. 어느분야든 하는 일에 존중받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 너희 아버지 직업이 뭐냐라고 하면 기 죽어 살았던 시대는 아니지만, 농업을 하든, 청소를 하든, 공사장에서 허드렛일을 하든, 호텔에서 청소를 하든, 대통령을 하고 있든(비하 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모든 직업이 적정하게 대우를 받아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2020. 9. 4.
공기업 채용, 공기업 면접 직장을 먼저 잡은 선배로서 요즘 취업이 너무 어려운 것을 보면 마음이 아프고, 조금이라도 앞선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길을 열 수 있는 산업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또한 국가도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정한 혜택을 주는 방법도 고민해야할 때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자녀들을 둔 아빠로서 우리 아이들, 나가서는 옆집의 아이들이 희망찬 미래가 보여야하는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종종 대중매체를 통해서 고3 또는 취업 압박감에 하면 안되는 선택을 하는 것을 보면서 정말 우리 사회가 이런 압박에서 자유로워지도록 산업이 발달하길 그리고 같이 노력해서 후배들이 좀 더 쉽게 인생을 시작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대기업중에는 삼성의 휴대폰과 반도체산업, LG의 백색 가전산업.. 2020. 9. 4.
60Hz 제품을 50Hz 지역에서 사용시 해외 여행을 하시다보면 꼭 챙겨야 하시는 것 중에 하나는 플러그입니다. 나라마다 다르다보니 요즘은 여행사에서 기념품으로 주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전기와 관련되어 또 하나 느끼지 못하고 지나가는 것은 주파수라는 건데, 전 세계적으로 50Hz(Hertz, 헤르쯔)와 60Hz를 사용하는데, 한국은 60Hz를 사용하고 있으며, 가까운 일본은 50Hz와 60Hz를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50Hz를 사용하는 나라들이 훨씬 더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국내 제조업체들이 해외 진출시 또는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 진출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실은 이제 이런 회사들은 기본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이지만, 전기분야 공부하는 분들을 위해서 올려봅니다. 먼저 한국에서 제작된 전동기를 유럽에서 사용하는 .. 2020. 9. 4.
교류발전기 권선온도 묘하게도 비슷한 일들이 여기저기서 거의 유사하게 발생하는 것을 보면 통계학이라는 것과 구조적 결함이라는 것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A라는 회사에서 어떤 결함이 발생하였으면 B라는 회사의 유사한(제작사가 다른 경우임에도) 기기에서 어김없이 동일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보면 신기하기까지 합니다. 그래서 이곳저곳에서 동일하게 발생한 결함(fault, incident, 사고) 사례를, 그리고 약간의 이론을 포함해서, 발전기 고정자권선 온도(전기자권선)과 관리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자합니다. 이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는 것은 쉽지 않는데, 이 권선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너무 많아 한 페이지 블로그로 정리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수십번에 걸쳐서 고정자권선에 대해서 정리가 필요하고요, 오늘은.. 2020. 9. 3.
변압기 유중가스(DGA) 분석 전력산업에서 변압기(Power Transformer)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다른 기기들과 다르게 정비를 하기 쉽지 않고, 대부분 가려져 있기때문에 변압기 내부 상황을 인지하기 쉽지 않아, 정비부서들에서 어려움을 겪는 설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정에 예전에 쓰던 220V → 110V 도란스라는 일본식 표현의 작은변압기도 기억이 새롭고, 더 흔한 사례로는 핸드폰 충전기에 달려 있는 작은 변압기(요즘은 전력전자로 다 구현하는지 확인은 못해봤네요), 그리고 거리를 다니다보면 전봇대위에 붙어 있는 주상변압기등이 우리가 흔히 접하던 변압기 들이 군요. 좀 더 실감있는 사진으로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사람이 굉장히 작아 보이는 정도의 대용량 변압기까지 보이는군요. 생각해보니 이런 변압기를 관리하는 사람이 별로 .. 2020. 9. 3.
저압차단기 ACB(기중차단기) 선정 방법 저압차단기인 ACB(기중차단기, Air Circuit Breaker)를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규모 부하와 대규모 산업부하에 있어서 차이와 엔지니어의 선택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대규모 산업부하에 사용하는 방식인데, 소규모에도 사용하는 것에 크게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ACB 규격을 선정하기 위한 국제 Standard는 ANSI/IEEE standard C37.16, ANSI C37.100-1999, NEC(National Electric Code)을 기준으로 해서 보통 설계회사들이 엔지니어링을 합니다. 설계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회사에 있는 각종 Standard 자료를 활용해서 블로그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국내 LG산전의 ACB 차단기 사진입.. 2020. 9. 2.
발전기 댐퍼권선(damper winding) 화력발전소 또는 가스터빈 발전소의 회전자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데, 보통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철을 가열하여 유압장치에 의해 수백톤 힘으로(마치 대장간에서 칼등을 만들때 처럼, 대장간과의 차이는 압력의 세기가 차이가 남) 철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갑니다. 바로 아래 사진처럼 철이 마치 온도를 높혀서 말랑말랑한 엿처럼 만들어진 모습입니다. 옆에 가기만 해도 열기에 놀랍니다. 아래 사진은 가열된 철을 수백톤의 유압으로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단조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발전기 회전자 모양이 아래 사진처럼 나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홈을 파서 만들어 진 것이 최종적으로 아래 사진과 같과 여기에 권선을 채우고 있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Retaining Ring이.. 2020. 9. 1.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절대강자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사이트를 벌써 3번째나 올리고 있네요. 오늘 제가 기존에 소개한 사이트의 불편함이(속도가 매우 느림, 각종 팝업창 폭탄)있어, 먼저 동영상 다운로드 속도 굉장히 빠른 것에 목표를 두고 찾은 사이트입니다. 직접 한번 시도해봤는데, 462M 대용량 동영상이 한국보다 인터넷 환경이 떨어지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50초 걸린다는 겁니다. 그리고 프로그램 또는 앱을 설치하지 않으면 보통 다운로드 용량에 제한을 두는데 이 사이트는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이 좋은 사이트가 구글검색에서 왜 나오지 않느냐, 그건 제약을 걸어 놨기 때문입니다. ** https://keepv.id/ KEEPVid 사용방법은 keepvid로 접속하시면 위에 캡쳐된 홈으로 연결이 됩니다. 저의 다른 블로그에서 보시면 유.. 2020. 8. 30.
이탈리아 밀라노 대성당과 베니스 여행 살다보면 예기치 못한 일도 많이 생기고 뜻하지 않은 행운도 찾아오고, 때로는 왜 내게 이런일이 생기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전세계가 어려운 시기를 맞아 조금씩 양보해 가고 있는데, 기름을 붓는 사람들도 있으니 도대체 예상이 안되는 삶인 것 같습니다. 몇년전에 갔는데 오늘이 가기전에 포스트를 한건 채우려다 보니, 이 방법이 가장 쉬워서 일단 하나를 올려보려 합니다. 회사 일을 하면서 남들에게는 생소하고 낮설지만, 반복되는 비슷한 일들이 주변에 많이 생기는데, 그래서 입으로 먹고 산다는 표현을 저는 하곤 합니다. 국내 한 대기업에서 기술자문을 해 달라고 해서 같이 이탈리아에 밀라노로 출장을 간적이 있습니다. 밀라노는 북이탈이아에 있는 곳인데, 가끔씩 밀라노에서 패션쇼를 하는 걸.. 2020.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