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기 명판 및 전동기 베어링 선정
전동기에 대한 표준은 NEMA와 IEC에서 규정하고 있는데요, 특히 NEMA MG1는 국내에서 대부분 적용하고 있는 표준입니다. NEMA MG 1 - 10.40.1에는 중간 단상 및 다상 유도전동기에 대한 명판 표시를 규격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 명칭 : 전동기 종류를 나타냅니다. 단상, 3상 동기전동기 또는 유도전동기(상부) ■ 절연의 종류 : 절연물 종류 Y, A, E, B, F, H, C 중 어느 것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허용온도와 온도상승을 알수 가 있습니다. Class INSUL로 표기된 항목. ■ 회전속도 : 정격 출력에서의 회전수 ■ NEMA Design : A, B, C, D 등에 따라 기동토오크와 기동전류가 다르게 됩니다.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어느곳에 사용하는 전동기이나..
2020. 9. 7.
전동기 일일 기동횟수, 전동기 과부하
전동기가 어느 기간 동안, 혹은, 전 수명 기간동안 기동할 수 있는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매우 많다. 이 많은 요소 중 설계자가 할 수 없는 요소는 부하 관성과 부하-속도 토크 특성, 기동 간격, 주위 온도와 상태, 정비 상태 등이다. 유도전동기의 경우 매 기동 시마다 전동기 수명이 감소된다. 기동 시 전동기 고정자의 End Turn에 심한 기계적 Stress를 주며, 그리고, 높은 관성부하일 경우, 전동기가 이 용도로 특별히 제작되지 않았다면 온도 상승이 초과되어 농형 회전자의 경우 고정자 절연물의 손상이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표준 농형 유도전동기의 경우 초기 주위 온도에서 두 번의 연속 기동(한 번 기동 후 스스로 전동기가 정지되게 한 경우), 혹은, 정격 온도(rated temperat..
2020. 9. 7.
전봇대 구조, 전주 구조, 배전선로
도심시에서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전봇대, 대부분 지하로 전봇대 대신에 지중선로가 그 역할을 대신 하면서, 그 비용도 훨씬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봇대(Utility Pole)의 역할은 전기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 지역 케이블 TV등 수많은 선로들이 전봇대에 기생하면서 어마어마하게 거미줄처럼 붙어 있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아직도 많이 보이고 있는 전주, 전봇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그림에서 제일 상부에 위치한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는 일반적으로 낙뇌직격시의 사고방지, 유도뇌 및 근접 낙뢰시에 선로 전체, 지지물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코로나 억제의 능력이 있는 배전선의 효과적인 내뢰시설입니다. 이 가공지선과 중성선은 같이 연결되지 않아, 낙뢰시에 중성선의..
2020.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