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4

전동기 재권선 절차 전동기를 운영하다보면 절연이 열화되거나,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베어링이 손상되거나 하는 등의 요인에 의해 고정자권선이 손상되는 경우 권선 절연물 또는 권선과 절연물을 모두 바꾸는데, 보통은 모두 바꾸게 됩니다. 이때 관심있게 봐야 할 사항들을 나열해 봅니다. 특히 권선을 철심에서 빼내는 경우 고온으로 가열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때 철심의 에나멜 코팅이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을(ELCID 또는 Loop Test) 꼭 공정에 포함시켜서 품질을 확보해야 합니다. 2020. 9. 8.
한손으로 전선을 잡을때 감전, 전선 한가닥 잡을 때 감전 전기를 전공한 사람들이 과연 한 손으로 전선을 만졌을 때 감전으로 사망하는지 여부가 궁금해하지 않을 것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의 습관이 아닐까 싶네요. 오늘의 글은 한손으로 전선을 잡았을 때 괜찮을지 간략하게 올려봅니다. 왜 이 새는 전선줄에 앉아서 이 블로그를 쓰게 만드는지......ㅋ 확실한 사실은 주변에 전봇대에서 새들이 매일 실험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새는 전선줄에 앉아도 죽지 않는구나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죠. 그럼 사람은...???? 우리의 타잔이 나무를 올라갔습니다. 그런데 이 타잔 아자씨 도시는 처음 오는 모양이군요. 다음 넘어갈 줄을 잡긴 잡았는데, 전선줄을 잡았군요. 어. 그런데 뭔가 심상치 않습니다. 괜찮을까요. 충격을 받은 모양이군요. 하늘에 기대를 해봐야겠군요. 우리 제인은 어떻.. 2020. 9. 7.
비율차동계전기와 포화, CT 포화 비율차동계전기는 보호구간의 내부에서 발생한 고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 차단하고, 외부고장에 대해서는 부동작을 하는 계전기로서, 전동기 기동전류와 단락전류가 비슷할 경우 비율차동계전기를 보통 사용한다. IEEE std C37.96-1988 guide for ac motor protection에 의하면 전동기(kVA) 용량이 공급 변압기(kVA)의 1/2 용량보다 크면 차동보호를 적용한다라고 guide가 되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전형적인 비율차동계전기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평상시에는 동작코일에서 CT로부터 흘려온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상쇄되어 계전기가 동작되지 않으나, 아래 그림처럼 내부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 방향이 바뀌어 동작코일에 의해 트립신호를 내보냅니다. 이건 제가 그리기 싫어.. 2020. 9. 7.
전동기 명판 및 전동기 베어링 선정 전동기에 대한 표준은 NEMA와 IEC에서 규정하고 있는데요, 특히 NEMA MG1는 국내에서 대부분 적용하고 있는 표준입니다. NEMA MG 1 - 10.40.1에는 중간 단상 및 다상 유도전동기에 대한 명판 표시를 규격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 명칭 : 전동기 종류를 나타냅니다. 단상, 3상 동기전동기 또는 유도전동기(상부) ■ 절연의 종류 : 절연물 종류 Y, A, E, B, F, H, C 중 어느 것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허용온도와 온도상승을 알수 가 있습니다. Class INSUL로 표기된 항목. ■ 회전속도 : 정격 출력에서의 회전수 ■ NEMA Design : A, B, C, D 등에 따라 기동토오크와 기동전류가 다르게 됩니다.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어느곳에 사용하는 전동기이나.. 2020. 9. 7.
전동기 일일 기동횟수, 전동기 과부하 전동기가 어느 기간 동안, 혹은, 전 수명 기간동안 기동할 수 있는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매우 많다. 이 많은 요소 중 설계자가 할 수 없는 요소는 부하 관성과 부하-속도 토크 특성, 기동 간격, 주위 온도와 상태, 정비 상태 등이다. 유도전동기의 경우 매 기동 시마다 전동기 수명이 감소된다. 기동 시 전동기 고정자의 End Turn에 심한 기계적 Stress를 주며, 그리고, 높은 관성부하일 경우, 전동기가 이 용도로 특별히 제작되지 않았다면 온도 상승이 초과되어 농형 회전자의 경우 고정자 절연물의 손상이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표준 농형 유도전동기의 경우 초기 주위 온도에서 두 번의 연속 기동(한 번 기동 후 스스로 전동기가 정지되게 한 경우), 혹은, 정격 온도(rated temperat.. 2020. 9. 7.
도체 온도와 절연체 온도 일반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이 증가하고, 그와는 반대로 절연체의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이 감소합니다. ■ 도체 저항과 온도 관계 낮은 온도에서 도체의 이온은 거의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온들은 에너지를 얻고 진동을 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온도가 더 높을수록 진동크기는 더 커지고요, 이러한 이온의 진동은 전자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고, 또한 높은 크기의 이온의 진동은 전자와 충돌 기회가 많아집니다. 이러한 이온들의 충돌과 방해로 인하여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증가합니다. 모든 금속이 이런 특성을 가진 건 아닙니다. 구리의 경우 0℃에서 저항은 100Ω정도지만, 100℃까지는 저항이 선형적으로 증가합니다. ■ 절연체 저항과 온도 관계 절연체는 자유전자가 .. 2020. 9. 7.
저항기 읽는법 저항기 색상 코드는 1920 년에 개발되었습니다. 색상 밴드는 작은 저항기 부품의 본체에 인쇄되어 있습니다. 탄소 합성 저항기에는 3 ~ 6 개의 저항 색상 밴드가 있습니다. 3 대역 저항기는 승수가 있고 허용 오차가없는 세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읽는 법은 앞자리가 백의자리 십의자리 의미가 없는 것 같고요, 그냥 앞에서 부터 읽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3개 띠가 있는 경우 ■ 4개 띠가 있는 경우 ■ 5개 띠가 있는 경우 ■ 6개 띠가 있는 경우 2020. 9. 7.
메가 사용법과 절연저항 측정 전동기, 전선, 케이블등 전기제품들의 절연이 잘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이제 절연저항 측정하는 것은 Megger측정이라는 이름으로 굳어져 있고, 이는 실은 영국 제작사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장비중에 하나 일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은 메가의 변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것 같군요. 요즘은 대부분 디지탈식으로 값을 직접 보여주고 있습니다. 메가 Tester는 아래 그림처럼 250V, 500V, 1000V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요(제작회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대동소이합니다.) 두개의 Probe가 있고 빨강색은 측정하고자 하는 도체에 접촉하고, 검정색은 접지측에 물리게 됩니다. 예를 들면 전동기 한상을 절연저항을 측정할 경우, 검정색을 어디에 물리냐는.. 2020. 9. 7.
전봇대 구조, 전주 구조, 배전선로 도심시에서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전봇대, 대부분 지하로 전봇대 대신에 지중선로가 그 역할을 대신 하면서, 그 비용도 훨씬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봇대(Utility Pole)의 역할은 전기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 지역 케이블 TV등 수많은 선로들이 전봇대에 기생하면서 어마어마하게 거미줄처럼 붙어 있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아직도 많이 보이고 있는 전주, 전봇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그림에서 제일 상부에 위치한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는 일반적으로 낙뇌직격시의 사고방지, 유도뇌 및 근접 낙뢰시에 선로 전체, 지지물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코로나 억제의 능력이 있는 배전선의 효과적인 내뢰시설입니다. 이 가공지선과 중성선은 같이 연결되지 않아, 낙뢰시에 중성선의.. 2020. 9. 7.